걷기: 둘레길/수도권 둘레길

경기도 영남길 제6길: 은이성지,마애불길(2019.10.6)

클리오56 2019. 10. 6. 20:02

                                                

자: 2019. 10. 6

산명: 경기도 영남길 제6길(은이성지,마애불길) 

등로: 양지면 남곡2리 버스정류장~은이성지~신덕고개~은이산(363.3m)~와우정사~신덕고개~376.4봉~곱등고개~용담조망처~문수봉(403.2m)~용인농촌테마파크~내동연꽃마을~원삼면 독성2리 버스정류장

시간:  5시간  46분 (휴식 46분 포함)

도상거리: 17.89km

동반: 홀로 

Track20191006영남옛길6구간.gpx

 

둘레길 조사한다지만 최근에는 대부분 차량이동 조사의 형태라

실제 걷는 경우가 드물고 어제 동기들과의 남산 둘레길도 부족한 실정.

하여 영남길을 이어보자며 아침 일찍 들머리 용인 양지면의 남곡2리로 향하였다.


3330번 광역버스로 서현역으로, 분당선 타고 기흥역, 용인경전철로 송담역,

마지막으로 버스 타고 남곡2리로..... 거의 2시간반이 소요되었다.  


들머리 남곡2리


영남길 제6길에는 카톨릭 은이성지가 포함되며

마침 와우정사가 등로에서 과히 멀지않으므로 다녀오기로 하여 종교적 의미의 코스가 되었다.


은이는 한자어로 隱(숨을 은)  里(마을 리)로 숨어있는 동네라는 뜻이며

천주교 박해시기에 천주교 신자들이 숨어 살며서 형성된 교우촌이다.


특히 은이성지는 김대건 신부가 어린 시절을 보냈던 골배마실과 인근하며

1836년 모방 신부로부터 세례성사와 첫 영성체를 받은 장소이며

사제 서품을 받고 귀국 후 첫 사목지이자

순교 전 공식적으로 마지막 미사를 드린 곳이다.





김대건 신부가 사제서품을 받았던 중국 상해의 김가항 성당을 그대로 복원건립(2016.9월)


은이골 가족캠핑장

주말이라 그런지 캠핑장에 많은 텐트들이 가족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모습들을 볼 수 있었다.

그런데 너무 다닥다닥 붙어있는데, 그게 더 즐겁나~  



신덕고개

은이성지에서 미리내성지까지는 3개의 신망애 고개, 즉 신덕고개, 망덕고개, 애덕고개를 넘어간다.

은이성지는 김대건 신부가 성장하고 사제서품 후 사목 활동을 하던 곳이며

미리내성지는 김대건 신부 사후 유해가 안장된 곳으로

두 지역 사이에는 크고 작은 천주교 박해시대의 교우촌이 산재되어 이 길을 연결하는 걷기는 의미가 깊다. 


신덕고개에서 은이산 방향으로 오른 후 와우정사로 내려가 사찰 구경 후

다시 신덕고개로 복귀하여 영남길 제6길을 이어갔다.  


은이성지와는 달리 와우정사는 유달리 요란하고 이국적인데 별도로 소개한다.

http://blog.daum.net/goclemens/15710348  




376.4봉


곱든고개



용담조망

용인팔경중 제3경 곱든고개에서의 용담조망 모습이다.

용담저수지와 그 둘레의 가을 황금 들판 풍경이 잘 어우러졌다.


문수봉 403.2m



길을 이어가니 농촌테마파크로 진입하는데

정문으로 들어왔다면 입장료를 내는 곳이라 공짜 구경이 더 즐거운 이유이다.





내동 연꽃마을

7~8월의 연꽃 피크 시즌을 지나 꽃은 귀하지만 그래도 넓게 펼쳐진 연꽃밭은 즐겁다.





내동마을에 스탬프가 있다. 모르고 지나쳤다가 되돌아와서 찾는데 넓은 밭이라 쉽지 않았다.

경기옛길 공식카페에 소개된 스탬프 위치를 참조하여 겨우 찾을 수 있었다.


카페에는 공사중이라 우회로를 소개하고 있었는데

논둑이고 수확중이라 큰 길을 이용하여 원삼초교를 지나 날머리로 향하였다. 



날머리 독성2리 버스정류장

정류장 접근중 네이버 지도 체크하니 2분 후면 버스(10-4번)가 도착한다는 정보라

서둘러 뛰어 탑승할 수 있었다, 워낙 드문 버스라 놓치면 1시간이상 기다려야했기에.

10-4번 버스 시간표




Track20191006영남옛길6구간.gpx
0.27MB